외국인 투자감소 -> 원화공급 하락 -> 환율 상승 -> 원화가치 하락 -> 코스피 하락
성장성이 좋다? ->외국인 투자증가 -> 원화공급 상승 -> 환율 하락 -> 원화가치 상승 -> 코스피 상승
성장성이 좋다? -> 외국인 채권 매도 -> 채권 가격 하락 -> 채권 수익률 상승
시장금리 하락 -> 채권 가격 상승 -> 채권 수익률 하락
중앙은행의 10년짜리 국채 매입 -> 국채 가격 상승 (수익률감소) -> 10년짜리 국채 시장금리 하락
기준금리 :중앙은행이 돈뿌리는거 조절하면서 맞추는 금리 (초단기금리)
채권금리 : 상대적으로 장기금리
보통 장기금리가 더 높아!! (리스크큼)
기준금리 오르면 채권금리도 따라오르고, 내리면 따라내린다 (보통은)
실질금리 = 명목금리 - 기대 inflation ( 은행이자 5프로인데 물가상승 8프로면 사실상 실질금리는 -3프로, 부동산사야함ㅋ)
부양책(돈뿌릴래) -> 돈없어 빚내자 -> 국채공급 늘어남 -> 시장에 돈없음 (돈가치증가) -> (시장) 금리오름
=>기업들:부담부담
=> 중앙은행: 채권 내가 좀 사면서 컨트롤할게
'재테크 > 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루다투자 1주년 이벤트 공유 (1년 수익률 공유) (0) | 2021.07.24 |
---|
댓글